맨위로가기

정 무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 무공은 기원전 771년 정 환공의 뒤를 이어 정나라의 군주가 되었으며, 동주 시대의 혼란기에 주 왕실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는 주 평왕을 도와 왕실을 지지하고, 동방 여러 나라를 공격하여 정나라의 세력을 확장했으며, 신정으로 도읍을 옮겨 정나라의 기틀을 다졌다. 또한, 호나라를 멸망시키고 딸을 시집보내는 계략을 통해 세력을 확장했다. 무공은 맏아들 오생을 후계자로 정하고 기원전 744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뒤를 이어 오생이 정 장공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나라의 군주 - 정 환공
    정 환공은 기원전 806년 정나라에 봉해지고 서주 사도가 되었으며, 견융의 침입 때 주 유왕을 보호하려다 전사했다.
  • 정나라의 군주 - 정 여공
    정 여공은 춘추 시대 정나라의 군주로, 송나라의 옹립으로 즉위했으나 여러 차례 망명과 복위를 거듭하며 혼란스러운 정국을 이끌었고, 제나라 환공의 패권 다툼에 휘말리는 등 복잡한 외교 관계를 맺었다.
  • 기원전 8세기 사망 - 진 평공
    진 평공은 기원전 777년에 즉위하여 23년간 진나라를 다스린 군주로, 그의 뒤를 이어 아들인 진 문공이 즉위하였다.
  • 기원전 8세기 사망 - 제 장공 (12대)
    제 장공은 기원전 795년에 제나라의 제후가 되어 64년간 재위했으며, 주 유왕 사후 주 평왕의 낙읍 천도 시기를 겪고 기원전 731년에 사망하여 아들 제 희공이 뒤를 이었다.
정 무공
기본 정보
칭호정나라 군주
재위 기간기원전 770년–기원전 744년
계승 순서정나라의 통치자
이전정 환공
이후정 장공
개인 정보
희 (姬, Ji)
이름궐돌 (掘突, Juetu)
사망일기원전 744년
아버지정 환공
배우자무강(武姜, Wu Jiang), 귀귀(圭媯, Gui Gui)
자녀정 장공, 공숙단(共叔段, Gongshu Duan)
가문희(姬, Ji)
왕조정나라
시호무공(武公, Wu Gong)

2. 생애

기원전 771년 환공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정나라 군주가 되었고,[4] 주나라 왕실의 경사(卿士)로 벼슬했다.[5] 아버지 환공은 견융의 침입 때 유왕과 함께 죽었고, 무공은 서주 멸망과 주 왕실의 동천(東遷)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무공은 평왕을 도와 왕실을 안정시키고 주왕의 신뢰를 얻어, 동방의 여러 나라에 정나라 백성들의 반환을 요구했다. 그러나 이들이 거절하자 무공은 이들을 공격하여 멸망시켰다. 이후 정나라 백성들은 무공 아래 모였고, 신정에 새로운 도읍을 정했다.

기원전 761년 신나라 공녀 무강과 결혼했다.[4]

기원전 744년 무공이 죽자, 부인 무강은 맏아들 오생(寤生)을 난산으로 싫어하고 둘째 아들 단(段)을 총애하여 무공에게 단을 후사로 삼기를 자주 청했으나,[4] 무공은 이를 허락하지 않고 맏아들 오생을 세자로 삼아 뒤를 잇게 했다. 이가 장공이다.[4]

2. 1. 초기 생애 및 주 왕실의 동천

기원전 771년에 아버지 환공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정나라의 군주가 되었고,[4] 주나라 왕실의 경사(卿士)로 벼슬했다.[5] 즉위 당시 견융의 침입으로 서주가 멸망하고 주 왕실이 동쪽으로 이동하던(동천) 때였는데, 아버지 환공은 견융의 침입 때 유왕과 함께 죽었고, 무공 자신도 주 왕실의 동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청화간》 〈정무부인규유자〉에 나오는 무공의 부인 무강의 말에 따르면, 무공은 즉위 후 위나라에 3년간 머물면서 신하들에게 정사를 맡겨 멀리서 나라를 통치했다고 하는데, 이는 주 왕실의 동천과 관련된 것으로 추측된다.[6]

무공은 주 평왕을 도와 왕실을 안정시켰고, 주왕의 신뢰를 얻었다. 처음으로 동방의 여러 나라에 정나라 백성들의 반환을 요구했으나, 동방의 여러 나라는 이를 거절했다. 이에 무공은 이들을 공격하여 멸망시켰다. 정나라 백성들은 무공 아래 모였고, 무공은 그들을 규합하여 신정에 새로운 도읍을 정했다. 신정은 중원에 위치하여 교통의 요충지를 점했기에 정나라는 이후 크게 발전했다. 또한 신정은 견고한 성으로도 명성이 높아 여러 번 강적을 물리쳤다.

기원전 761년에는 신나라 공녀 무강과 결혼했다.[4]

2. 2. 정나라의 기틀 마련

무공의 아버지인 환공(희우)은 무공의 종형인 주나라 유왕(평왕의 아버지)을 섬기며 중책을 맡았지만, 유왕은 암군이었고 주나라가 이민족의 공격을 받았을 때 이를 도우려는 제후는 환공밖에 없었다.[1] 환공은 미리 주의 패배를 예견하고, 전란을 피하기 위해 정나라 국민을 동쪽의 동괵이나 등의 여러 나라에 맡겼다.[1] 환공은 전사했고 적자인 굴돌이 즉위하여 무공이 되었다.[1]

무공은 평왕을 도와 왕실을 안정시켰고, 주왕의 신뢰를 얻어 처음으로 동방의 여러 나라에 자국민의 반환을 요구했다.[1] 동방 여러 나라는 이를 거절했고, 무공은 이들을 공격하여 멸망시켰다.[1] 정나라 국민은 무공 아래 모였고, 무공은 그들을 규합하여 새로운 도읍을 신정으로 정했다.[1]

신정은 중원에 위치하여 교통의 요충지를 점했기에 정나라는 이후 크게 발전했다.[1] 또한 신정은 견고한 성으로도 명성이 높아 여러 번 강적을 물리쳤다.[1]

2. 3. 후계 분쟁

기원전 744년 무공이 죽자, 부인 무강은 맏아들 오생(寤生)을 난산으로 싫어하고 둘째 아들 단(段)을 총애하여 무공에게 단을 후사로 삼기를 자주 청했다.[4] 그러나 무공은 이를 허락하지 않고 맏아들 오생을 세자로 삼아 뒤를 잇게 하니, 이가 장공이다.[4] 무공은 둘째 아들 단을 정나라 수도 경(京)의 통치자로 임명했는데,[2] 이로 인해 단은 훗날 장공에게 반역을 일으키게 된다.[3]

2. 4. 호나라 정벌

무공은 호나라를 멸망시키려고 자신의 딸을 호나라에 시집보냈고, 호나라를 치자고 주장하는 대부 관기사(關其思)를 죽여 호나라를 안심시킨 뒤에 호나라를 급습해 멸망시켰다.[7]

2. 5. 죽음

기원전 744년에 죽었다. 부인 무강은 잠을 자다가 난산한 맏아들인 세자 오생을 싫어했고, 둘째 아들인 단을 사랑하여 무공에게 자주 단을 후사로 삼기를 청했으나, 무공은 끝내 허락하지 않고 세자 오생으로 하여금 자신의 뒤를 잇게 했다.[4] 세자 오생이 뒤를 이어 습작하니, 이가 장공이다.[4]

3. 대중문화 속의 정 무공

미야기야 마사미츠의 소설 『풍요의 문』(침묵의 왕)에서는 주나라의 동천을 다룬 작품에서 정 무공이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Annals of Qin Zhonghua Book Company 2010
[2] 웹사이트 The Regional State of Zheng 鄭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3] 서적 Zuo Tradition (Zuozhuan):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6
[4] 서적 사기 정세가 https://zh.wikisourc[...]
[5] 서적 춘추좌씨전
[6] 간행물 청화간(淸華簡)<정무부인규유자(鄭武夫人規孺子)>주해 http://kiss.kstudy.c[...]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7-03
[7] 서적 노자한비열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